1. EC2의 개념과 역할
AWS EC2(Elastic Compute Cloud)는 Amazon Web Services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. EC2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고, 웹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구매하고 유지보수할 필요 없이, 클라우드 상에서 필요한 만큼 컴퓨팅 자원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EC2의 장점은 유연성과 확장성에 있습니다.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인스턴스를 생성하거나 종료할 수 있으며, 서버 용량을 자동으로 확장하는 오토 스케일링(Auto Scaling) 기능도 제공됩니다. 또한,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을 제공하여,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맞는 최적의 하드웨어 환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2. EC2 인스턴스 유형과 선택 기준
AWS에서는 EC2 인스턴스를 다양한 용도에 맞게 분류한 여러 가지 인스턴스 유형을 제공합니다. 주요 인스턴스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컴퓨팅 최적화(Compute Optimized): C 시리즈 인스턴스는 고성능 프로세서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. 예를 들어, 웹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버, 게임 서버 등이 있습니다.
- 메모리 최적화(Memory Optimized): R 시리즈와 X 시리즈 인스턴스는 대규모 데이터베이스, 분석 작업 및 인메모리 캐시와 같은 메모리 집약적인 작업에 적합합니다.
- 스토리지 최적화(Storage Optimized): I 시리즈 인스턴스는 고속 디스크와 함께 제공되어, 데이터베이스 및 분석 시스템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.
- 범용 인스턴스(General Purpose): T 시리즈와 M 시리즈는 일반적인 웹 애플리케이션, 미디어 서버 등 범용적인 용도로 적합하며, 균형 잡힌 CPU와 메모리 성능을 제공합니다.
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할 때 고려할 점은 애플리케이션의 성격, 필요한 컴퓨팅 성능, 메모리 용량, 저장소 용량 및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3. EC2 인스턴스 생성 과정
Step 1: EC2 인스턴스 생성
- AWS 관리 콘솔에 로그인한 후, EC2 대시보드로 이동합니다.
- 인스턴스 시작(Launch Instance)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.
- AMI(Amazon Machine Image) 선택: 원하는 운영 체제(Windows, Linux 등)를 선택합니다. AWS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Amazon Linux, Ubuntu, Windows Server 등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 인스턴스 유형 선택: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맞는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합니다.
- 구성 설정: 인스턴스에 대한 네트워크, 서브넷, IAM 역할 등을 설정합니다. 여기서 VPC와 서브넷을 지정할 수 있으며, 필요한 경우 보안 그룹을 설정하여 외부 접근을 제어합니다.
- 스토리지 설정: 인스턴스에 연결할 EBS(Elastic Block Store) 볼륨을 선택합니다. 기본적으로 8GB의 EBS 볼륨이 제공되며, 추가적인 저장소가 필요한 경우 확장할 수 있습니다.
- 태그 추가: 인스턴스를 구분할 수 있도록 태그를 추가합니다. 예를 들어, Name: WebServer, Project: Website 등의 태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.
- 보안 그룹 설정: 보안 그룹은 인스턴스에 대한 접근 제어를 담당합니다. 예를 들어, SSH(22번 포트), HTTP(80번 포트), HTTPS(443번 포트) 등의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하여, 해당 포트들에 대해 접근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.
- 키 페어 생성: SSH로 인스턴스에 접근하려면 키 페어를 생성해야 합니다. 키 페어는 인스턴스에 연결할 때 필요한 인증서를 제공합니다.
Step 2: 인스턴스 실행 후 연결
- 인스턴스를 시작한 후, Public IP 주소를 확인하고, 이를 통해 SSH로 인스턴스에 접속합니다. 예를 들어, ssh -i <키페어파일> ec2-user@<PublicIP> 명령을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습니다.
- 접속 후에는 웹 서버,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의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4. EC2 인스턴스 관리 및 모니터링
모니터링:
- EC2 인스턴스는 CloudWatch와 통합되어 실시간으로 CPU 사용량, 메모리 사용량, 디스크 읽기/쓰기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인스턴스의 성능을 최적화하고, 필요시 리소스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.
자동화된 관리:
- 오토 스케일링: EC2는 오토 스케일링 그룹을 설정하여 인스턴스의 수를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트래픽이 증가하면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추가하고, 트래픽이 감소하면 인스턴스를 종료할 수 있습니다.
- 시작 및 종료 자동화: AWS Lambda를 사용하여 EC2 인스턴스의 시작과 종료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, 정해진 시간에만 인스턴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.
보안:
- IAM 역할: EC2 인스턴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관리하려면 IAM 역할을 설정하여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AWS 리소스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.
- 보안 그룹: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는 IP 범위를 지정하는 보안 그룹을 사용하여 외부 공격을 차단합니다.
- 키 페어 관리: EC2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 페어는 안전하게 보관해야 하며,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.
5. EC2 인스턴스 종료 및 비용 관리
EC2 인스턴스는 사용한 만큼 요금이 부과됩니다. 인스턴스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거나 테스트가 끝났을 때는 인스턴스를 종료하여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. 종료된 인스턴스는 과금되지 않지만, 연결된 EBS 볼륨과 Elastic IP는 계속 요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고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.
결론
AWS EC2는 애플리케이션 호스팅에 필수적인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. 다양한 인스턴스 유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하드웨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, 관리 및 운영이 용이하여 비즈니스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. EC2의 강력한 확장성과 유연성을 활용하면, 클라우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.